주노(2007) 와 10개월의 미래 (2020)
블로그
지난주에 유튜브에서 조던 피터슨의 피임약에 대한 팟캐스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했다. 피터슨이 임신 과학자/연구자를 인터뷰했는데, 매우 흥미로웠다. 피임약의 등장이 생각보다 큰 사건이었음을 알게 되었고, 여성의 생리에 대해 많이 배웠다. 이 영상을 통해 내가 여성에 대해 얼마나 모르는지 깨달았다. 비싼 사립학교 교육으로도 이런 지식을 배울 기회가 없었다는 점이 약간 실망스러웠다. 여성에 대해 거의 모르면서 어떻게 여자친구를 가질 생각을 했는지 의문이 들었다.
이 계몽적인 영상을 본 며칠 후, 방학 중인 고3 여동생이 스마트 TV에서 로맨틱 코미디를 찾는 모습을 보고 있었다. 여동생이 내가 아는 영화인 '주노' (2007)를 선택했다.
주노(2007)
이 영화를 고등학교 때 봤지만, 줄거리를 잘 기억하지 못했다. 엘렌 페이지(현재 엘리엇 페이지)가 고등학생으로 임신한 이야기라는 것 외에는 거의 기억나지 않았다. 다시 보니, 그 외에는 큰 내용이 없었다. 엘렌 페이지가 임신한 후, 큰 소동 없이 입양할 부부를 찾고, 약간의 갈등이 있은 후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된다. 내용은 단순하지만 이 영화가 아이코닉한 이유를 인정한다. 등장인물들이 모두 귀엽고 기억에 남는다.
특히 엘렌 페이지의 역할은 매우 '쿨'한 청소년이다. 옛날 음악을 좋아하고, 말투는 나이보다 성숙하다. 물론 이 영화의 청소년들은 거의 30대 성인처럼 보이는데, 이는 전형적인 미국 고등학교 영화의 특징이다. 주인공의 부모를 보며 '나도 이런 부모가 있었으면 좋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차분하면서도 딸을 사랑하는 마음을 잘 보여준다. 딸의 임신 고백에도 소리 지르지 않고 바로 해결책을 찾으려 한다.
입양을 원하는 부부도 이 영화의 주요 인물이다. 처음에는 완벽해 보이지만, 남편이 주노와 어색할 정도로 가까워진다. 음악적 공통점을 발견한 후 둘의 관계가 적절한 선을 넘는다. 아내의 주된 특징은 아이를 키우고 싶어 하는 강한 열망이다. 어떤 면에서는 강박적으로 보이지만, 일부 여성들의 모성에 대한 강한 욕구를 인정할 수 있다.
이 영화는 매우 독특하다. 개봉 당시 대학 인문학 전공 학생들이 이 영화를 높이 평가하며 시대를 반영하는 작품이라고 여겼을 것 같다. 힙스터 음악이 가득하고, LGBTQ+ 대표자인 엘렌 페이지가 주연을 맡았으며, 마이클 세라의 어색하면서도 유머러스한 연기도 인상적이다.
이 영화의 핵심 메시지는 무엇일까? 표면적으로는 혼전 청소년 임신 이야기를 유머러스하고 현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것 같다. 비미국인이 이 영화를 보면 미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강화될 수 있다. 서구 영화에서만 청소년의 성 관계를 이렇게 친밀하게 다룬다. 낙태에 대해서도 언급하지만 강력한 입장을 취하지는 않는다. '이것이 현실이다'라는 느낌으로 영화가 끝난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이 영화가 임신을 너무 가볍게 다루는 것 같다. 마지막 장면에서 주노가 임신 전과 같은 삶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끝나며, 심지어 아이 아버지와 로맨틱한 관계를 유지한다. 또한 이혼한 여성에게 아기를 입양 보낸다.
미국 교외 생활이 정말 이렇게 단순할까?
10개월의 미래 (2020)
대조적으로, '10개월의 미래' (2020)는 임신을 더 현실적으로 다룬다. 2021년 한국에서 낙태가 비범죄화되기 전의 이야기이다. 30세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자 '미래'가 갑자기 임신한 사실을 알게 된다. 낙태를 고려하지만 불법이라는 사실과 시기를 놓쳐 선택권이 없어지게 된다. 회사 확장으로 인해 해고 위기에 처하고, 채식주의자 남자친구는 아버지의 강요로 돼지 농장에서 일하게 된다. 부모님들은 결혼을 종용하고 돼지 농장에서 살 계획을 세운다. 미래와 남자친구의 삶이 완전히 뒤바뀌며 우울해지고 주변의 압박으로 힘들어한다. 결국 미래는 남자친구와 헤어지고 친구의 도움을 받아 아기를 출산한다.
이 영화는 '주노'와 비슷한 줄거리지만, 정서적 분위기가 완전히 다르다. 처음에는 가벼운 분위기로 시작하지만, 출산일이 다가올수록 임신의 심각성이 드러나고 등장인물들이 점점 더 취약해진다. 준비되지 않은 혼전 임신 커플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보여준다.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어머니에게 헌사하고 개인적인 경험을 반영했다고 한다.
'주노'와 비교하면, 13년 후에 나온 '미래'는 임신을 더 냉혹하게 다룬다. 현대 사회지만 나라마다 출산/임신/페미니즘을 다루는 방식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현대 한국은 미국을 모델로 삼지만, 여전히 강한 보수적 태도를 가지고 있어 서구 문화와 큰 차이를 보인다.
16세 고등학생 주노는 임신 후에도 학교 생활에 큰 지장 없이 지내고, 부모님도 비난하지 않고 입양을 권한다. 어려운 시기를 겪지만 쉽게 극복한다. 반면 30세에 가까운 미래는 좋은 직업과 책임감 있는 남자친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이 완전히 뒤집힌다. 성인이기에 부모의 도움도 제한적이고 입양이라는 선택지도 없다. 직업, 결혼, 경제적 압박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 주노와 달리 쉽게 해결되지 않고, 이 한 번의 실수가 평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주노'와 달리 '미래'는 임신을 더 섬세하고 기억에 남는 방식으로 다룬다.
섬세하게 - delicately
중절수술 - abortion
화려한 - impressive/splendid
허무하다 - futile
속없이 굴고 - helplessly
명분 - justification
헌사 - tribute
구상했다 - envision
헌신 - devote
전형적인 - typical
고정관념이 강화될 - reinforce stereotypes
낙태에 - abortion
종용하고 - urge/怂恿
비범죄화 - decriminalise
취약해진다 - become vulnerable
권한다 - recommend
English:
Last week, I watched Jordan Peterson’s podcast episode about birth control on YouTube. Peterson interviewed a pregnancy researcher, and their discussion was fascinating. I never realized how transformative the introduction of birth control pills was, not just for women but for society as a whole. The episode also deepened my understanding of women’s menstrual cycles—an area I admittedly knew little about.
What struck me most was how limited my knowledge on these topics had been, even after attending an expensive private school. It made me question how I once thought of dating while knowing so little about women’s experiences. It was humbling and eye-opening.
Juno (2007)
A few days after watching the podcast, I joined my high school senior sister during her vacation as she searched for a romantic comedy on the family smart TV. She settled on Juno (2007)—a movie I vaguely remembered from high school.
Rewatching it, I realized how much I had forgotten. The plot revolves around Juno, played by Ellen Page (now Elliot Page), a quirky high schooler who gets pregnant and decides to place her baby up for adoption. The story unfolds without much melodrama—there’s some conflict, but it resolves neatly, leaving a light, feel-good impression.
The movie’s strength lies in its characters. Juno herself is an effortlessly cool teenager with a love for retro music and a maturity beyond her years. Her parents are standout characters, too—calm and supportive even when faced with their daughter’s unexpected pregnancy. I found myself wishing more parents could show this level of unconditional love.
One subplot that stuck with me was the dynamic between Juno and the adoptive couple. At first, they seemed perfect, but cracks appeared as the husband developed an inappropriate closeness to Juno. Meanwhile, the wife’s overwhelming desire for motherhood added depth to the story.
What makes Juno iconic is its indie charm—hipster music, quirky dialogue, and Michael Cera’s awkward yet endearing performance. It’s no surprise that the movie resonated with its 2007 audience, particularly humanities students who likely saw it as a reflection of their era.
Ten Months (2020)
While Juno treats teenage pregnancy with humor and a touch of sentimentality, Ten Months (2020) offers a starkly different perspective. Set in Korea before abortion was decriminalized in 2021, it tells the story of Mirae, a 30-year-old game developer who finds her life derailed by an unplanned pregnancy.
Unlike Juno, Mirae faces relentless challenges. Abortion is not an option due to legal restrictions, and she fears losing her job amidst company restructuring. Her vegetarian boyfriend is pressured by his father to work on a pig farm, and their parents insist on marriage, further complicating their lives. Ultimately, Mirae breaks up with her boyfriend and gives birth with the support of a friend, but the journey is anything but easy.
While Juno wraps up its story with a sense of resolution, Ten Months dives into the emotional and logistical turmoil of unplanned pregnancy. The film explores not only the physical challenges but also societal pressures, financial instability, and the impact on relationships.
Watching these two films back-to-back highlighted the stark cultural differences in how pregnancy is portrayed. In Juno, 16-year-old Juno resumes her life with little disruption, supported by understanding parents and maintaining her romantic relationship. The adoption process, while emotionally complex, is presented as a straightforward solution.
By contrast, Mirae in Ten Months experiences profound upheaval despite being an adult with a stable career. The lack of legal and societal support forces her to grapple with difficult choices that alter the course of her life.
These differences reflect broader cultural attitudes. While Western media often depicts teenage pregnancy with a mix of humor and optimism, Korean society—despite modern influences—retains a conservative stance that amplifies the challenges of unplanned pregnancies.
Juno and Ten Months offer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 former is a feel-good story that captures the quirks of suburban American life, while the latter is a sobering tale rooted in Korea’s traditional values and societal pressures. Both are valuable in their own ways, but Ten Months left a deeper impression on me for its raw and realistic portrayal.
Through these films, I gained a greater appreciation for the diverse ways societies approach sensitive topics like pregnancy and motherhood. It’s a reminder that behind every narrative is a cultural context that shapes how we perceive these life-changing events.



